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일의 감과 언어의 감은 일치할까Wednesday, December 9, 202010:54 PM
    literature 배우기 2024. 9. 15. 00:23

    일의 감과 언어의 감은 일치할까

    Wednesday, December 9, 2020

    10:54 PM

    일은 감을 믿어야 생기는 것일까?

    확실하게 삽으로 파고는

    다시 점검하여 보고?

     

     

    몸을 감지할 있어야 한다…..

    간호원으로서

     

    .

    1  중요

    [명사]

    1. 무엇을 이루거나 적절한 대가를 받기 위하여 어떤 장소에서 정한 시간 동안 몸을 움직이거나 머리를 쓰는 활...

    2. 어떤 계획과 의도에 따라 이루려고 하는 대상.

    3. 어떤 내용을 가진 상황이나 장면.

     

    From <https://dict.naver.com/search.nhn?dicQuery=%EC%9D%BC&query=%EC%9D%BC&target=dic&query_utf=&isOnlyViewEE=>

     

     

     

    일은 행동하는 자체가 아니었다.

     

    일은 어떤 계획과 의도에 따라 무언가를 이루어 완성시키는 것이다

     

    계획이란?

     

    무슨 말을 하고 싶을때 어떻게 표현할까 생각해보아야 한다.

    그리고 문법에 맞는 어순과 실제 쓰는 단어들로 문장을 구성하고

    발언을 완성시킨다.

    이때 타인이 알아들을 있어야 한다.

     

    계획도 실현 가능해야 하며

    도구와 인력이 필요하고

    방법이 효율적이고 doable해야 한다.

    계획 부터가 타당한 목적과 의도로 이루어진 것이어야 하겠다.

     

    Connotative

    Denotative

     

    계획과 결과가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하지만 많은 경우에 그렇지 못하다

    그래서 하면서 의도하는 쪽으로 자꾸 조정을 필요가 있다.

     

    상황과 어느정도 타협을 하느냐

    그것이 말이 바른 타협이냐

    아니면 편의만을 위한 것이냐

     

    일의 감을 위해선

    몸이 따라 줘야 한다.

    머리가 따라 줘야 한다 (아무리 신체 노동이라 할찌라도)

    노력을 계속 해야 한다.

     

    역학적 원리를 이해하면 좋다.?

     

    과학

     

    언어를 쓰는 것과 간호를 비교할 것이 아니라

    언어를 가르치는 것과 간호를 비교하여 볼까

     

    언어 능력과

    나이

    무에서 , 아픈 것을 정상적으로 환원시키는

    언어 가르침의 원리. 간호의 원리(Letters)

     

    4) 언어교육의 원리

    3) 유아 언어 교육의 방향

    원리 1. 아동은 언어 학습자이다.

    원리 2. 언어 학습과 교수는 아동의 필요와

    목표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원리 3. 교실은 아동과 교사, 교사와 아동 간에

    서로 협조하는 따뜻한 분위기이어서

    아동의 언어사용을 위협하지 말아야 한다.

    ⅰ.듣기․말하기 교육의 방향

    원리 4. 언어 지식 및 언어 통제력 등

    언어사용의 기초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한다.

    ⅱ읽기․쓰기 교육의 방향

    원리 5 창의적인 언어사용 능력은 언어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상호작용할 때 길러진다.

    원리 6 언어교육은 문화를 깊숙이 이해하고, 더불어 살아

    가는 사람들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2) 유아 언어 교육의 목표

    첫째, 언어 교육의 목표는 언어 사용 능력의 향상에 있다.

    둘째, 유아 언어 교육의 목표는 사회성 발달 도모에 있다.

    셋째, 목표는 유아의 개인적 만족 성취와 미적이고 정서적인 발달의 촉진에 중점을 두는 데 있다.

     

    From <https://prezi.com/5phem-7bdfz4/presentation/>

     

     

     

     

     

     

    처음엔 의식을 해야 한다.

    언어를 배워 쓸때

    수영을 배워 수영할때

    자세를 고치기 위해 노력할때

    처음에는 의식하며 해야 한다.

     

    그러다 자동화가 되면 쉽다.

    하지만 잘못된 습관이 들면

    고치기 어렵다.

     

    몸이 자유자재로 물건을 콘트롤 하고 자신을 콘트롤 있어야겠다

    에어로빅 이외에

    강약을 조절할 있는 운동을 했으면 좋겠다.

    다리도 팔도

     

     

    자신이 해야 하는 일은

    하나님께서 좋아하도록 만들어놓으신 같다.

    하기 좋아한다고 죄책감을 느낄 것이 아니라

    계발을 시켜나가야 한다.

    하기 좋아하는 것에 대한 바른 이해와 기초가 있어야 것이다.

     

    글쓰기.

    문학.

     

     

    눈의 한계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